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!
청년이라면 누구나 느끼는 주거비, 생활비, 학자금의 부담.
하지만 경기도에 거주 중인 청년이라면 걱정을 조금 덜 수 있습니다.
바로 ‘경기도 청년 2배 통장’ 덕분이죠.
매월 10만 원씩 저축만 해도, 2년 후엔 최대 480만 원으로 돌아오는 이 놀라운 제도!
오늘은 그 지원 조건부터 신청방법, 금액,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
✅ 경기도 청년 2배 통장이란?
‘경기도 청년 2배 통장’은 청년의 자산 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경기도의 정책사업입니다.
📌 핵심 요약
매달 10만 원을 24개월간 저축하면, 경기도가 같은 금액을 더해 총 480만 원을 만들어주는 통장!
단순히 돈을 더 얹어주는 것뿐만 아니라, 금융교육과 컨설팅, 맞춤형 사례관리 등도 함께 지원해 청년의 종합적인 삶을 응원하는 것이 특징이에요.
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 (지원 대상 조건)
연령 | 만 18세 ~ 만 34세 (신청일 기준) |
거주지 | 경기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둔 청년 |
소득 요건 |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 (4인 가구 기준 월소득 약 540만 원 이하) |
취업 상태 | 근로 중이거나 창업한 청년 (아르바이트 포함) |
자산 조건 | 가구 재산 기준 3억 8천만 원 이하 |
※ 기초생활수급자나 타 자산형성 지원사업(청년내일저축계좌 등)에 참여 중인 사람은 중복 참여 불가
💸 지원 금액과 방식은?
본인 저축액 | 매월 10만 원 × 24개월 = 240만 원 |
경기도 지원금 | 매월 10만 원 × 24개월 = 240만 원 |
총 수령액 | 2년 후 480만 원 + 이자 지급 |
단, 중도 포기하거나 중도 해지 시에는 지원금 일부 또는 전액 환수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📝 신청 방법은?
📍 신청 기간
- 보통 매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 1~2회 공고
- 2024년 기준 6월 17일 ~ 6월 28일이 접수기간이었음
- (※ 2025년도 일정은 추후 공지 예정)
📍 신청 방법
- 경기도일자리재단 공식 홈페이지 접속
- ‘청년 2배 통장’ 모집 공고 확인
-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관련 서류 업로드
- 소득 및 자산 심사 후 대상자 선정
- 통장 개설 및 저축 시작
✅ 신청 사이트:
👉 잡아바(G잡아바) 공식 홈페이지
👉 경기도일자리재단
📂 제출해야 할 서류는?
- 주민등록등본
- 건강보험 자격확인서
- 건강보험 납부확인서
- 소득 증빙서류 (근로계약서, 급여명세서 등)
- 재산 증빙서류 (부동산, 자동차 등)
※ 신청 단계에서는 서류 간소화가 진행되는 경우도 많으니 공고문을 꼭 참고하세요.
📌 주의사항 & 꿀팁
- 반드시 2년간 매달 저축을 유지해야 전체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요.
- 중도 해지 시 경기도 지원금 환수 가능성 있음.
- 다른 자산형성 사업(청년내일저축계좌, 희망두배청년통장 등)과는 중복 불가입니다.
- 금융교육은 의무 이수 대상이며, 온라인/오프라인 중 선택 가능.
✅ 마무리: 청년이라면 꼭 신청하자!
취업하고 나서도 통장이 늘 마이너스였다면,
경기도 청년 2배 통장이 첫 번째 플러스 통장이 되어줄 수 있어요.
소액이라도 매달 꾸준히 저축한다면, 2년 후에는 목돈과 함께 경제적 자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올해도 신청 접수가 다가오고 있으니,
조건이 맞는다면 지금 바로 관심 등록 해두세요!
🔗 더 알아보기 / 신청 바로가기
- 👉 경기도일자리재단: https://www.gjf.or.kr
- 👉 G잡아바 통합포털: https://www.jobaba.net
- 👉 과거 공고문 예시 확인: 2024년 공고 보기
🙋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!
- 통장을 처음 만들어보는 사회초년생
- 월급은 있지만 저축이 어려운 청년
- 결혼, 독립, 유학 등 준비할 자금이 필요한 분
2년 뒤 더 여유 있는 내가 되고 싶다면,
청년 2배 통장으로 오늘부터 시작해보세요! 💪💳